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데이터 해석 편 – 서울은 어디가 위험한가?

반응형

“위험은 언제나 말이 없고, 데이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 서울시 ‘지반침하(싱크홀) 위험 예측 지도’, 이게 뭐길래?

서울시는 수년 전부터
지반침하 위험 지역을 예측한 GIS 지도를 일부 공개해왔다.

하지만 이 데이터는
공공기관과 연구자 외에는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고,
언론에선 몇 번 소개된 이후 사라지듯 조용해졌다.

왜일까?
위험하다고 지적된 지역 중 일부는
서울의 중심, 고가 아파트 밀집지, 혹은 재건축 민감지대였기 때문이다.


📊 공개된 위험 지역의 대표 사례 (요약 리스트)

위험도 상위지역주요 특성비고
광진구 (자양동, 구의동) 하천 복개, 노후 건물 밀집 조용한 지역, 반복 노출
강서구 (화곡동 일대) 지반이 고르지 않음 자주 싱크홀 발생 보도
노원구 (상계동 등) 복합노후지역, 통학로 포함 어린이보호구역 포함
강남구 일부 (논현, 삼성) 대규모 지하공사, 열망류 공개 지적은 거의 없음
중구 (을지로, 청계천변) 복개천 위 건물, 지하수 유동 지하상가와 연결됨
용산구 (한강로, 이촌동) 미군기지 반환지, 미조사 구역 지하 정보 부족

📌 이상하게도…
고가 지역은 ‘데이터가 없다’는 이유로 순위에 빠진 경우가 많았다.
위험이 없는 것이 아니라,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가능성.


❗ 데이터로는 안 보이지만, “숨겨진 위험”은 어디에 있을까?

서울은 지금도 아래와 같은 구조로 도시가 운영 중이다:

  • 📦 하천 위 복개도로
  • 🧱 노후한 저층 건물과 빽빽한 주차장
  • 🕳 도시가 누락한 과거의 암거, 하수관
  • 🔥 열수송망 + 지하철 공사 + 개발 압력
  • 🧭 지하공간 정보의 불균형한 축적

이것은 데이터가 ‘제대로 조사되었을 경우’에만 드러나는 문제다.

그렇기에 “데이터 없음”은
곧, 안전함이 아니라 위험한 공백을 의미한다.


서울은, ‘지금도 모르는 구역’이 너무 많다

  • 강남의 주요 노선 하단,
  • 용산의 반환 구역,
  • 재건축 예정인 도심 외곽지,
  • 정비사업으로 관심이 집중된 성수, 장위동, 증산동 일대
    모두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개발은 먼저 진행되는 지역이다.

📌 우리가 주의 깊게 바라봐야 할 5가지

  1. 복개 하천 위 건축물
  2. 지하철 노선과 노후 건축이 겹치는 구간
  3. 열수송망 + 지하주차장 + 고층 건물의 조합
  4. 지하 오염 가능성이 높은 과거 공장지대
  5. 미군기지·군사시설 등 미조사 구간 위 건축 예정지

이 모든 위험을 뚫고 살아가는 사람들

서울은
“정보가 있는 사람만 안전한 도시”로 변하고 있다.

데이터는 있지만,
그 데이터는 가려지고 있고,
말하는 사람도 많지 않다.

그래서 지금,
“서울은 어디가 위험한가?”라는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 생존과 연결된 질문이 된다.


시리즈를 마치며

이 시리즈는
도시의 침묵을 기록하는 작은 시도였다.

  • 잠실 – 묵인된 구조
  • 광진 – 조용한 위험
  • 용산 – 덮인 과거
  • 성수 – 쓸려가는 속도
  • 서울 전체 – 데이터가 누락된 현실

다음은?

“이제는 우리 동네를 바라보는 법을 배울 차례입니다.”

– 마이크로 시리즈 : 우리 동네, 땅 아래의 이야기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