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30)
데이터 해석 편 – 서울은 어디가 위험한가? “위험은 언제나 말이 없고, 데이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서울시 ‘지반침하(싱크홀) 위험 예측 지도’, 이게 뭐길래?서울시는 수년 전부터지반침하 위험 지역을 예측한 GIS 지도를 일부 공개해왔다.하지만 이 데이터는공공기관과 연구자 외에는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고,언론에선 몇 번 소개된 이후 사라지듯 조용해졌다.왜일까?위험하다고 지적된 지역 중 일부는서울의 중심, 고가 아파트 밀집지, 혹은 재건축 민감지대였기 때문이다.📊 공개된 위험 지역의 대표 사례 (요약 리스트)위험도 상위지역주요 특성비고광진구 (자양동, 구의동)하천 복개, 노후 건물 밀집조용한 지역, 반복 노출강서구 (화곡동 일대)지반이 고르지 않음자주 싱크홀 발생 보도노원구 (상계동 등)복합노후지역, 통학로 포함어린이보호구역 포함강남구 일부..
성수동, 속도를 삼킨 동네의 균열 “빠름은 멋이 될 수 있지만, 균열은 그 속에서 자란다”서울에서 가장 '힙한 동네'로 불리는 곳,그리고 가장 빠르게 부동산 값이 오른 지역.이 두 단어가 만나는 곳이 바로 성수동이다.하지만 성수는 지금,서울에서 가장 빠르게그리고 가장 위험하게 바뀌고 있는 도시다.급격한 도시변화가 만든 비틀림성수동은 원래 공장지대와 창고 밀집지구였다.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갤러리형 카페’‘리노베이션 브랜드숍’‘타워형 복합상업시설’이란 이름으로과거를 허물고 현재를 덧씌우는 속도가 폭발적으로 가속됐다.속도가 빠르면, 도시의 기반이 무시된다재개발이 천천히 진행되면,지반 조사와 기반 설계가 계획적으로 이뤄진다.하지만성수동은 투자의 속도가 인프라 점검의 속도를 앞질렀다.그 결과 생겨나는 구조적 문제:불균형한 땅 사용 → 미확인..
용산, 개발의 시간표 아래 덮인 깊이 “역사가 잠든 땅에서, 위험은 말없이 자라고 있다”서울에서 ‘미래’라는 단어가 가장 먼저 붙는 지역이 있다면그건 바로 용산이다.대통령실 이전, 미군기지 반환, Y-밸리 조성, 국제업무지구 계획까지—도시의 서사는 용산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있다.하지만 그 모든 미래의 시간표는아직 발굴되지 않은 땅 위에 놓여 있다.반환된 것이 아니라, 덮여버린 흔적들용산은 지하 정보를 가장 적게 알고 있는 도시다.100년 가까이 주한미군기지로 사용되며국가도 정확히 접근할 수 없었던 땅이 많고,공공 지도에도 기록되지 않은 관정, 오염구역, 지하 시설이 존재하며,지반 침하가 아닌 지반 불확실성 그 자체가 가장 큰 위험이다.이 도시는 “얼마나 깊은가?”를 물을 수 없을 만큼한 시대 전체가 덮여 있는 땅이다.국가가 ‘개발 예정’이라..
광진, 조용한 땅 아래 감춰진 균열 서울의 동쪽 끝자락,사람들은 광진구를 ‘잠잠한 동네’라고 말합니다.대규모 재건축도 없고,정치적 이슈도 드물며,뉴스에 잘 등장하지 않는 조용한 지역이죠.그래서일까요?이 지역은 마치 ‘위험할 리 없다’는 묵시적인 믿음 속에오랜 시간 방치되어 왔습니다.🔍 서울시 지반침하 위험 지도, 광진구는 왜 상위권일까?서울시가 발표한 **‘지반침하(싱크홀) 예측지도’**에서광진구는 매년 상위권에 등장합니다.특히 위험도가 높게 평가된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자양동, 구의동 일대국립서울과학관 부근어린이대공원역 ~ 구의역 구간하천 복개 지대인 자양로 일부하지만 언론은 조용했고,주민들도 별다른 경각심 없이 일상을 지나쳤습니다.⚠️ 광진구가 ‘더 위험한 이유’이 지역은 눈에 띄는 재개발도 없고,관심도 적습니다.그렇기에 위험이 더 ..
잠실, 서울의 얼굴 아래 매몰된 진실 “높이 솟은 도시가 가장 먼저 무너지는 이유”서울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떠올려 보자.높이 솟은 롯데타워,끝없이 이어진 대단지 아파트들,그리고 그 아래 조용히 흐르는 석촌호수.이 모든 것이 하나의 이름으로 묶인다.바로 ‘잠실’이다.서울이라는 도시에 대한 자존심이자 자화상.그런데 그곳이,싱크홀 고위험 예측 지역 1순위라는 말,믿어지시나요?겉은 고요하지만, 안은 텅 비어 있다잠실은 과거 한강의 본류가 흘렀던 저지대였다.지금의 롯데타워 부근은원래 섬이었고,수십 년간의 매립을 통해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석촌호수는 본래 자연 호수가 아니라,매립 이후 남은 인공 수로의 흔적이다.지하에는 열 공급망, 지하철 2·8·9호선, 백화점·몰,롯데월드 지하 수족관까지 겹쳐져 있다.즉, 잠실은 ‘서울의 얼굴’이기 이전에**‘서울에..
서울은 안전하지 않다 – 그런데 아무도 말하지 않는다 서울에 싱크홀이 생긴다는 뉴스는 낯설지 않다.도로가 무너지고, 차량이 빨려 들어가고,누군가는 “또?” 하고 고개를 젓는다.그런데 한 가지 이상한 점이 있다.서울에서 가장 비싼 땅들은, 왜 이런 리스트에서 사라졌을까?싱크홀 고위험 지역 보고서에는광진구, 금천구, 종로구 같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지역이 반복해서 등장한다.그리고 사람들은 고개를 끄덕인다.“그래, 원래 낙후된 데가 위험한 거지.”하지만 정말 그럴까?나는 오히려 그 반대라고 느낀다.잠실, 여의도, 압구정, 용산…서울에서도 가장 많은 개발이 집중되고,지하 공간이 복잡하게 얽히고,고층 건물이 지하 깊이 뿌리를 내린 이 지역들이야말로가장 위험할 수 있다고, 나는 조용히 의심한다.그리고 어느 순간 깨닫는다.위험은 눈앞에서 무너지는 게 아니라,말하지 않..
서울은 20대를 유혹하고 30대를 버린다 – 왜 이렇게 살기 힘든 도시가 됐을까? 서울은 대한민국의 중심이지만, 젊은이들에게는 꿈의 도시, 30대에게는 생존의 도시입니다.20대는 서울의 기회에 끌려오지만, 30대가 되면 현실적인 이유로 하나둘씩 서울을 떠납니다.도대체 왜 서울은 20대를 빨아들이고, 30대를 내쫓는 걸까요?그 이유를 현실적인 3가지 포인트로 정리해 보겠습니다.1️⃣ 서울이 20대를 유혹하는 이유 – 기회가 몰려 있다서울은 대한민국 최고의 대학과 기업이 모여 있는 곳입니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등 상위권 대학이 집중📌 삼성, 현대, 카카오, 네이버 등 주요 대기업 본사 위치📌 공기업, 스타트업, 외국계 기업 등 다양한 커리어 기회 제공취업을 준비하는 20대에게 서울은 무조건 와야 하는 곳입니다.지방에서 살아도 결국 서울에서 인턴을 하고, 네트워크를..
현대차 GBC 초고층 포기? 롯데타워 가치 어디까지 오를까! 1. 한전부지 GBC, 54층 확정되나? 서울 초고층 경쟁의 변화서울 스카이라인의 판도가 바뀌고 있습니다. 현대차가 한전부지(현대차 글로벌 비즈니스센터, GBC) 개발 계획을 기존 105층에서 54층으로 대폭 축소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기존 계획대로라면 GBC는 국내 최고층(569m)으로 건설될 예정이었지만, 비용 증가, 인허가 문제, 사업성 검토 등의 이유로 초고층 건설이 사실상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로 인해 롯데월드타워의 독보적 위치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2. 롯데타워, 국내 유일 ‘초고층 랜드마크’ 유지!롯데월드타워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빌딩(555m)으로, 서울의 대표 랜드마크입니다.그동안 현대차 GBC가 완공되면 이 타이틀을 빼앗길 위기에 처했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