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반침하

(2)
광진, 조용한 땅 아래 감춰진 균열 서울의 동쪽 끝자락,사람들은 광진구를 ‘잠잠한 동네’라고 말합니다.대규모 재건축도 없고,정치적 이슈도 드물며,뉴스에 잘 등장하지 않는 조용한 지역이죠.그래서일까요?이 지역은 마치 ‘위험할 리 없다’는 묵시적인 믿음 속에오랜 시간 방치되어 왔습니다.🔍 서울시 지반침하 위험 지도, 광진구는 왜 상위권일까?서울시가 발표한 **‘지반침하(싱크홀) 예측지도’**에서광진구는 매년 상위권에 등장합니다.특히 위험도가 높게 평가된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자양동, 구의동 일대국립서울과학관 부근어린이대공원역 ~ 구의역 구간하천 복개 지대인 자양로 일부하지만 언론은 조용했고,주민들도 별다른 경각심 없이 일상을 지나쳤습니다.⚠️ 광진구가 ‘더 위험한 이유’이 지역은 눈에 띄는 재개발도 없고,관심도 적습니다.그렇기에 위험이 더 ..
서울은 안전하지 않다 – 그런데 아무도 말하지 않는다 서울에 싱크홀이 생긴다는 뉴스는 낯설지 않다.도로가 무너지고, 차량이 빨려 들어가고,누군가는 “또?” 하고 고개를 젓는다.그런데 한 가지 이상한 점이 있다.서울에서 가장 비싼 땅들은, 왜 이런 리스트에서 사라졌을까?싱크홀 고위험 지역 보고서에는광진구, 금천구, 종로구 같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지역이 반복해서 등장한다.그리고 사람들은 고개를 끄덕인다.“그래, 원래 낙후된 데가 위험한 거지.”하지만 정말 그럴까?나는 오히려 그 반대라고 느낀다.잠실, 여의도, 압구정, 용산…서울에서도 가장 많은 개발이 집중되고,지하 공간이 복잡하게 얽히고,고층 건물이 지하 깊이 뿌리를 내린 이 지역들이야말로가장 위험할 수 있다고, 나는 조용히 의심한다.그리고 어느 순간 깨닫는다.위험은 눈앞에서 무너지는 게 아니라,말하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