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지반위험

(2)
데이터 해석 편 – 서울은 어디가 위험한가? “위험은 언제나 말이 없고, 데이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서울시 ‘지반침하(싱크홀) 위험 예측 지도’, 이게 뭐길래?서울시는 수년 전부터지반침하 위험 지역을 예측한 GIS 지도를 일부 공개해왔다.하지만 이 데이터는공공기관과 연구자 외에는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고,언론에선 몇 번 소개된 이후 사라지듯 조용해졌다.왜일까?위험하다고 지적된 지역 중 일부는서울의 중심, 고가 아파트 밀집지, 혹은 재건축 민감지대였기 때문이다.📊 공개된 위험 지역의 대표 사례 (요약 리스트)위험도 상위지역주요 특성비고광진구 (자양동, 구의동)하천 복개, 노후 건물 밀집조용한 지역, 반복 노출강서구 (화곡동 일대)지반이 고르지 않음자주 싱크홀 발생 보도노원구 (상계동 등)복합노후지역, 통학로 포함어린이보호구역 포함강남구 일부..
잠실, 서울의 얼굴 아래 매몰된 진실 “높이 솟은 도시가 가장 먼저 무너지는 이유”서울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떠올려 보자.높이 솟은 롯데타워,끝없이 이어진 대단지 아파트들,그리고 그 아래 조용히 흐르는 석촌호수.이 모든 것이 하나의 이름으로 묶인다.바로 ‘잠실’이다.서울이라는 도시에 대한 자존심이자 자화상.그런데 그곳이,싱크홀 고위험 예측 지역 1순위라는 말,믿어지시나요?겉은 고요하지만, 안은 텅 비어 있다잠실은 과거 한강의 본류가 흘렀던 저지대였다.지금의 롯데타워 부근은원래 섬이었고,수십 년간의 매립을 통해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석촌호수는 본래 자연 호수가 아니라,매립 이후 남은 인공 수로의 흔적이다.지하에는 열 공급망, 지하철 2·8·9호선, 백화점·몰,롯데월드 지하 수족관까지 겹쳐져 있다.즉, 잠실은 ‘서울의 얼굴’이기 이전에**‘서울에..